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김영사
- 희귀 금속은 어떻게 세계를 재편하는가
- 고대 그리스의 4원소설에서 양자과학 시대 위상물질까지
- 과열
- 문명사
- 문학사상
- 나눔의집
- Homo Deus
- 책 리뷰
- Overheating
- 총균쇠
- 유발 하라리
- 토마스 힐란드 에릭슨
- 호모 데우스
- 한정훈
- 재레드 다이아몬드
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
- 물질의 물리학
- 기욤 피트롱
- 세계패권과 국제질서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72)
무지개 아카이브 : 우선 책 리뷰만!

킨(Kindred) | 옥타비아 버틀러(지은이) | 비채 개인적으로 SF 소설에 큰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니다. 큰마음을 먹고 구매했던 SF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의 「파운데이션」 시리즈는 1권도 다 읽지 못한 채 책장 한 구석을 장식하고 있다. 대중적인 과학 교양서 「코스모스」를 읽고 칼 세이건이라는 작가에 관심이 생겨 그의 SF 소설 「콘택트」도 읽어보려 했지만, 내 기억이 맞는다면 100페이지 정도만 읽은 채 다른 작가의 책으로 관심을 옮겼다. 책을 끝까지 보려는 내 의지가 부족했던 것인지 아니면 SF라는 주제가 내 취향과 맞지 않는 것인지 지금은 잘 모르겠다. 그럼에도 「킨」을 구매했던 이유는 단 하나, 리커버 에디션이었기 때문이다. 리커버 에디션은 정말 신기하다. 사람의 소장 욕구를 이만큼 자극하는..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ㅇ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- 빠르고 초국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술과 그 기반 시설은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있으며 계속 발전하고 있다. - 이 변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. 일부는 뇌를 오염시켰다고 말하며 부정적이지만, 다른 일부는 정보의 공유, 인류 연대의 가능성이 증가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. -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,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현재 우리는 세계적인 하나의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..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ㅇ 쓰레기(Waste) - 쓰레기는 가속화된 변화의 부작용 가운데 가장 냄새나고 쉽게 인식되는 대상이다. - 쓰레기의 정의는 다소 모호하지만, 전 세계적으로 쓰레기의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. - 글로벌 노스의 경우 높은 강도로 시행되는 재활용 캠페인 덕에 재활용이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했지만, 쓰레기 관리 체계가 다소 미흡한 글로벌 사우스의 경우 쓰레기는 환경오염과 직결된다. - 세계가 아직 과열, 과잉되지 않았..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ㅇ 과열된 세계의 또다른 특성 : 도시화 - 인구 성장, 이동성의 증가, 기반 시설의 개발 등으로 인해, 과열된 세계에서 여유 공간을 찾는 것은 힘들다. - 도시의 교통정체는 과열 현상의 강력한 이미지이자, 도시화의 모순된 부작용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. 그리고 오로지 성장만을 추구하는 발전은 유연성을 상실하게 된다는 경고를 상기시킨다. - 도시의 부유한 개인과 빈곤한 대중의 상반되는 모습에서, 우리는 신자유주의의 지배와 그 한계를 체..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저자는 과열된 세계의 두 번째 특성으로 '이동성의 증가'를 꼽았다. 4장 '이동성'에서는 비슷해 보이지만 상반되는 성격을 지닌 관광객과 난민에 대하여 과열의 관점에서 논의한다. ㅇ 과열된 세계의 핵심적 특성 중 하나는 바로 이동성의 증가다. - 지그문트 바우만(Zygmunt Bauman)은 "오늘날 우리 모두는 움직이고 있다"라고 이야기했다. - 지난 수십 년간 이동성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였으며, 국제 이주민의 수, 세계 항공 교통량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