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
- 과열
- 책 리뷰
- 문명사
- 희귀 금속은 어떻게 세계를 재편하는가
- 고대 그리스의 4원소설에서 양자과학 시대 위상물질까지
- 한정훈
- Homo Deus
- 문학사상
- 물질의 물리학
- Overheating
- 총균쇠
- 기욤 피트롱
- 나눔의집
- 유발 하라리
- 세계패권과 국제질서
- 토마스 힐란드 에릭슨
- 김영사
- 호모 데우스
- 재레드 다이아몬드
- Today
- Total
무지개 아카이브 : 우선 책 리뷰만!
[책리뷰] 총, 균, 쇠 : <6> 식량 생산민과 수렵 채집민의 경쟁력 차이 본문
[책리뷰] 총, 균, 쇠 : <6> 식량 생산민과 수렵 채집민의 경쟁력 차이
Geronimo 2021. 9. 4. 19:00ㅇ 제목 : 총, 균, 쇠(Guns, Germs, and Steel) - 무기, 병균, 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
ㅇ 지은이 : 재레드 다이아몬드(Jared Diamond)
ㅇ 출판사 : 문학사상
<차례>
1부 : 인간 사회의 다양한 운명의 갈림길
1장. 문명이 싹트기 직전의 세계 상황
2장. 환경 차이가 다양화를 빚어낸 모델 폴리네시아
3장. 유럽이 세계를 정복한 힘의 원천
2부 : 식량 생산의 기원과 문명의 교차로
4장. 식량 생산의 기원
5장. 인류 역사가 갈라놓은 유산자와 무산자
6장. 식량 생산민과 수렵 채집민의 경쟁력 차이
7장. 야생 먹거리의 작물화
8장. 작물화하는 데 적합한 식물의 식별과 성패의 원인
9장. 선택된 가축화와 '안나 카레니나의 법칙'
10장. 대륙의 축으로 돈 역사의 수레바퀴
3부 : 지배하는 문명, 지배받는 문명
11장. 가축의 치명적 대가, 세균이라는 사악한 선물
12장. 식량 생산 창시와 문자 고안과의 관계
13장. 발명은 필요의 어머니
14장. 평등주의부터 도둑 정치까지
4부 : 인류사의 발전적 연구 과제와 방향
15장. 대륙 간 불균형 이론과 원주민들이 낙후된 원인
16장. 동아시아의 운명과 중국 문화의 확산
17장. 동아시아와 태평양 민족의 충돌
18장. 남북아메리카가 유라시아보다 낙후됐던 원인
19장. 아프리카는 왜 흑인 천지가 됐는가
6장 '식량 생산민과 수렵 채집민의 경쟁력 차이'에서는 지역에 따라 수렵 채집 생활에서 식량 생산으로 전환하거나 그렇지 않게 만들었던 여러 원인을 탐구한다.
ㅇ 왜 수렵 채집민들은 식량 생산을 시작하게 되었을까?
- 현대의 시각으로는 수렵 채집민 생활의 여러 불리한 점 때문에 자연스럽게 식량 생산을 시작했으리라 생각할 수 있다.
- 하지만 오늘날 식량 생산에 직접적으로 종사하는 사람들은 과거 못지않게 많은 시간을 노동에 투자하고 있으며, 식량 생산의 이점을 누리는 사람은 대부분 식량 생산과 무관한 사람들이다.
- 심지어 이웃 민족이 식량을 생산하는 것을 보았음에도, 수렵 채집민의 생활을 고수한 민족도 다수 존재한다.
- 엄밀히 말해서 식량 생산은 결과를 예상하고 의도적으로 수행한 것이 아니라, 일종의 우연이 진화한 것이다.
- 더불어 유랑형의 수렵 채집민과 정주형의 식량 생산자는 서로 명확히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.
ㅇ 우연이 진화한 식량 생산은 서서히, 느린 속도로 발전했다.
- 식량 생산의 초기 단계에서는 수렵, 채집 생활과 농작물을 재배하는 일을 병합했으며,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작물의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수렵, 채집의 중요성이 낮아졌다.
- 식량 생산을 위한 기술, 체계, 인식의 전환은 느린 속도로 발전했다.
- 여기에 개인의 우선순위 결정, 집단의 문화적 기호, 생활 방식에 따른 음식의 선호 순위 등이 영향을 주었다.
ㅇ 어느 특정 지역에서 식량 생산이 시작되었다면, 이웃한 수렵 채집민들은 그 결과를 보며 의식적인 선택을 할 수 있었다.
- 이웃 민족의 식량 생산 체계를 전부 받아들이거나,
- 일부 요소만 받아들이거나,
- 아예 수렵 채집민 생활을 고수하기도 했다.
-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토착 동식물의 생산성과 효율에 따라 수용의 정도가 달랐다.
ㅇ 식량 생산과 수렵 채집은 서로 경쟁하거나 때로는 병행되기도 했지만, 대체로 수렵 채집 생활에서 식량 생산 체제로의 전환을 꾀했다.
- 세계의 각 지역에서 결정적으로 작용했던 요인이 각기 다를 수 있지만, 크게 보면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.
1. 야생 먹거리가 감소하여 수렵 채집의 보상이 감소함
2. 작물화할 수 있는 야생 식물이 증가하면서 작물화에 따르는 보상 증가
3. 식량 생산에 필요한 각종 기술의 발달
4. 인구 밀도의 증가와 식량 생산 사이의 상호관계(자가 촉매작용)
- 따라서 식량 생산이 우리의 생각만큼 일찍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, 당시 수렵 채집으로 얻는 보상이 식량 생산보다 컸기 때문이다.
- 지리적 조건(환경, 고립성 등)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독자적으로 식량을 생산하거나, 비교적 최근까지 수렵 채집 생활을 유지하기도 했다.
'기록하고 싶은 '비문학' > 총, 균, 쇠(재레드 다이아몬드 著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책리뷰] 총, 균, 쇠 : <8> 작물화하는 데 적합한 식물의 식별과 성패의 원인 (4) | 2021.09.09 |
---|---|
[책리뷰] 총, 균, 쇠 : <7> 야생 먹거리의 작물화 (6) | 2021.09.08 |
[책리뷰] 총, 균, 쇠 : <5> 인류 역사가 갈라놓은 유산자와 무산자 (0) | 2021.09.03 |
[책리뷰] 총, 균, 쇠 : <4> 식량 생산의 기원 (0) | 2021.09.01 |
[책리뷰] 총, 균, 쇠 : <3> 유럽이 세계를 정복한 힘의 원천 (2) | 2021.08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