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호모 데우스
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
- 토마스 힐란드 에릭슨
- Homo Deus
- 나눔의집
- 한정훈
- 유발 하라리
- 기욤 피트롱
- 문학사상
- 과열
- 재레드 다이아몬드
- 문명사
- 세계패권과 국제질서
- 고대 그리스의 4원소설에서 양자과학 시대 위상물질까지
- 물질의 물리학
- 책 리뷰
- Overheating
- 희귀 금속은 어떻게 세계를 재편하는가
- 김영사
- 총균쇠
- Today
- Total
목록기록하고 싶은 '비문학'/과열(토마스 힐란드 에릭슨 著) (9)
무지개 아카이브 : 우선 책 리뷰만!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저자는 과열된 세계의 두 번째 특성으로 '이동성의 증가'를 꼽았다. 4장 '이동성'에서는 비슷해 보이지만 상반되는 성격을 지닌 관광객과 난민에 대하여 과열의 관점에서 논의한다. ㅇ 과열된 세계의 핵심적 특성 중 하나는 바로 이동성의 증가다. - 지그문트 바우만(Zygmunt Bauman)은 "오늘날 우리 모두는 움직이고 있다"라고 이야기했다. - 지난 수십 년간 이동성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였으며, 국제 이주민의 수, 세계 항공 교통량..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3장 '에너지(Energy)'에서는 과열된 세계의 특성 중 하나로 에너지의 사용량 증가에 대해 이야기한다. ㅇ 풍부한 에너지는 오늘날 인간 생활의 여러 영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. - 하지만 오늘날 에너지 위기, 에너지의 불균등, 기후 변화와 같은 여러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며,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다. - 일부는 물질적 안전성과 인류의 번영을 위해 화석 연료의 대량 공급은 필수라고 말하며,..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2장 '개념 용어 사전'에서는 저자가 세계화의 과열현상을 이야기하면서 사용하게 되는 여러 분석적 개념을 정의 및 설명하고 있다. ㅇ 인류세 - 자연과학자 폴 크루첸(Paul Crutzen)과 유진 스토머(Eugene Stoermer)는 오늘날 어디를 가도 인간의 활동이 남긴 발자국을 발견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, 현재의 지질학적 시기를 인류세라 지칭했다. - 인간은 자신의 필요와 욕구에 맞추어 환경을 변화시켰고, 지구적 맥락에서는 일종의..

과열(Overheating) - 폭주하는 세계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| 토마스 힐린드 에릭슨(지은이) | 나눔의집 1. 과잉된 세계 2. 개념 용어 사전 3. 에너지 4. 이동성 5. 도시 6. 쓰레기 7. 정보과잉 8. 스케일의 충돌 : 과열된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 ㅇ 세계는 과열(Overheating)되어 있다. - 프랑스의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(Claude Lévi-Strauss)는 "이 세계는 지나치게 과잉되어 있다(Le monde est trop plein)"고 언급했다. 이는 세계가 수많은 인간, 개발 계획, 그 활동의 물질적 결과물로 가득 차 있는 현실을 언급한 표현이다. - 문화 간 극단적 차이는 사라지고 있다. 인류학계가 꿈꿨던 '진정한 타문화를 향한 낭만적 탐험'은 이제 거..